본 글은 를 참고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JSX 리액트에서 가상 DOM 객체를 만들어주는 함수는 React.createElement이다. 이를 이용해서 go to google 위의 HTML 코드를 리액트 방식으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const CE = React.createElement const rootVirtualDOM = CE('ul', null, [ CE('li', null, [ CE('a', {href: 'http://www.google.com', target: ' _blank'}, [ CE('p', null, 'go to google') ]) ]) ]) 매번 React.createElement를 호출해야 하는 것도 번거롭고, HTML 코드에 비해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힘들다..
문장 중간에 인라인 타입 코드 삽입하기 개발 블로그를 운영하면 필연적으로 코드블록을 삽입하게 된다. 티스토리는 코드블록을 지원해서 코드만 붙여넣으면 알아서 블록이 완성된다. 그런데, 나 같은 경우 문제풀이 포스팅을 주로 하다 보니 코드를 설명하기 위해 문장 중간에 inline 타입의 코드를 넣고 싶을 때가 있다. code 이렇게 말이다. 방법은 단순하다. 작성 모드를 HTML 편집 모드로 바꿔서 단어를 code와 /code 태그로 감싸주면 된다. 하지만 그냥 적용하면 별로 멋이 안 날 것이다. 코드블록처럼 디자인해서 일관성을 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나는 memostack님이 배포한 berry 스킨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본으로 code 태그에 css가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색상이 그라데이션이 가미된 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