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의 SWE 테크 리드를 맡고 있는Lee Boonstra가 작성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가이드이다.아래 링크에서 확인하고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https://www.kaggle.com/whitepaper-prompt-engineering Prompt Engineering www.kaggle.com 1. 생성형 AI 이해하기 생성형 AI를 잘 다루려면, 생성형 AI가 어떻게 응답을 출력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생성형 AI는 가장 확률이 높은 다음 토큰을 출력하는 머신이다. 이 확률은 모델이 어떻게 학습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프롬프트를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AI 모델에 따라 다르다. 생성형 AI의 응답을 좌우하는 요소출력 길이(Output Length): 출력이 길면 에너지를 많이 ..
bash -c "$(wget -O - https://apt.llvm.org/llvm.sh)"우분투에서 최신 LLVM 버전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지만 최신 버전을 설치해도 clang --version으로 확인해보면 기본적으로 설치된 clang의 버전만 나왔다. 나의 경우 LLVM과 clang 18이 설치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clang은 14로만 동작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fuzz@fuzz:~$ sudo suroot@fuzz:~5# ^Croot@fuzz:~# cd /usr/lib/llvm-18/binroot@fuzz:/usr/lib/llvm-18/bin# for f in *; do rm -f /usr/bin/$f; ln -s ../lib/llvm-..
생성형 AI 이해 - 어텐션 프롬프트는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문구로, 이에 따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좋은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니라, 좋은 답변을 받기 위한 모든 기법을 말한다. 방법이야 어떻게 되는 간에, 결론만 잘 나오면 된다. LLM은 어텐션(attention) 기반이다. 어텐션은 문제를 풀기 위해 영어 지문을 이리저리 오가며 독해하는 것과 같다. 뒷부분을 읽다가도 앞부분과 붙이고 중요한 부분은 동그라미 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짧은 시간에 엄청난 정보를 정리해 제공할 수 있다. GPT가 내용을 다 기억할 수 있는 것도 어텐션 덕분에 대화를 훑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뇌가 필요한 정보만 저장하고, 이 정보를 잘 가공해 꺼내듯이 AI도 인코딩과 디코딩을 거친다. 인코딩..
버추얼박스에서 우분투 22.04 버전을 돌리면서 IDA를 설치하려고 run 파일을 실행시켰는데, 글자를 포함한 모든 그래픽이 깨져서 나오는 현상이 일어났다. gpart 등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도 마찬가지였다. 기본으로 제공하는 디스크 관리자 등 프로그램은 문제가 없는데, 추가로 설치한 프로그램에서만 문제가 발생했다. 원인은 '그래픽 가속'에 있었다. 문제가 발생한 머신의 설정 탭에서 디스플레이 - Extended Features: 3차원 가속 사용하기를 체크 해제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다시 우분투를 켜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구글 검색창에 "jpg to pdf"라고 검색해서 나오는 아무 웹 사이트에 들어가 변환을 하곤 했는데, 아무래도 영 찝찝해서 다른 방법을 알아보다 이 방법이 가장 편한 것 같아서 써봅니다. 1. 필기 내용을 vflat 앱을 이용해 사진으로 찍습니다. PDF로 만들고자 하는 사진을 모두 선택해 '공유 - PC로 저장'을 통해 PC에 저장합니다. 종이 문서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건 vflat을 이용하는 편이 가장 깔끔한 것 같습니다. 앱 자체에서도 PDF 변환을 지원하지만 무료인 경우 횟수 제한이 있어서, 다량의 PDF 파일로 변환해야 한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2. 한 파일로 만들고자 하는 사진을 모두 선택하고 우클릭 - 알PDF로 포맷 변환하기를 누릅니다. 'PDF 생성하기'를 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