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Udemy(유데미)에서 제공하는 Colt Steele님의 「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3」 강의를 수강하며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웹 해킹 및 보안에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르기 위해 전반적인 내용을 가볍게 훑어보는 기획입니다. 이번에는 JS의 데이터 구조, 배열과 객체를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활용하는 반복 구문도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배열(array) 연속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는 구조로, 어떤 자료형이든 넣을 수 있습니다. 대괄호로 감싸서 배열임을 표현합니다. let array = []#배열 선언 let colors = ["red", "orange"]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은 다른 언어에서의 리스트(list)와 ..
본 글은 Udemy(유데미)에서 제공하는 Colt Steele님의 「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3」 강의를 수강하며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웹 해킹 및 보안에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르기 위해 전반적인 내용을 가볍게 훑어보는 기획입니다. 자바스크립트로 무언가 출력하기 개발자도구의 출력 기능 지금까지 브라우저의 콘솔을 통해 자바스크립트의 동작을 확인해 왔습니다. 저장된 값을 확인할 때 별도의 출력 함수 없이 단지 변수 이름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아니고,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에서 지원하는 기능입니다. 개발자 도구의 콘솔은 전역 스코프(global scope)에서 실행되는 J..
본 글은 Udemy(유데미)에서 제공하는 Colt Steele님의 「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3」 강의를 수강하며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웹 해킹 및 보안에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르기 위해 전반적인 내용을 가볍게 훑어보는 기획입니다. 시작하기 전 헛소리 상대: "전공이 뭐예요?" 나: "산업보안학과예요." 상대: "...?" 나: ".. 컴퓨터공학과랑 비슷한데, 해킹 방어를 좀 더 많이 배워요." 상대: "오!! 그럼 해킹할 줄 아세요?!" 나: "아.. 학년이 낮아서 해킹까지는 안 배웠어요..." 사람을 만나서 학과 얘기를 하다 보면 무. 조. 건 위와 같이 대화가 흘러갑니다. 명색이 보안학과인데, 해킹을 할 줄 모른다니! 거의 9..
chirpy 설치 후 초기 설정 진행 방법 jekyll 테마를 모아놓은 사이트에서 chirpy 테마가 마음에 들어서 설치했습니다. 그런데 로컬 저장소와 연동하기 위해 push하면 이런저런 오류가 발생해서 상당히 곤란했습니다. 사흘 정도를 오류 해결에만 몰두했는데, 해결법은 "매뉴얼대로 설치하기"였습니다. 아래의 chirpy 공식 매뉴얼을 따라 설치하면 대부분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https://chirpy.cotes.page/posts/getting-started/ 그런데 이 매뉴얼에는 큰 걸림돌이 있습니다. bash tools/init명령어의 수행입니다. 리눅스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명령이라 원도우에서는 사용할 길이 없습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코드 및 템플릿 배포를 위해 존재하는 불필요한 파일을 삭..
이 글은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 정찰, 공격, 방어 세 단계로 배우는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의 모든 것"을 읽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서드파티 의존성 식별 웹 앱은 자체 개발 코드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른 사람(서드 파티)이 제공하는 외부 코드도 포함한다. 이러한 서드파티 의존성(모듈 간의 협력)을 유심히 살펴보면 공격 경로로 활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측 프레임워크 검출 복잡한 UI를 직접 구축하기보다는 jQuery, Bootstrap 등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때가 많다. SPA 프레임워크 EmberJs, 앵귤러JS, 리액트, 뷰JS 등의 SPA 프레임워크는 저마다 DOM 요소를 관리하는 특별한 구문이 있다. 글로벌 객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버전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JS..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